레이블이 웹프로그래밍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. 모든 게시물 표시
레이블이 웹프로그래밍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. 모든 게시물 표시

2018년 4월 27일 금요일

Flutter는 커다란 한 수

최근 Dart와 Typescript 중에 하나를 선택하려고 깊은 고심을 하다가 결국 TS를 골랐습니다. 일단 저는 상당히 친 구글 성향인데,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가지 프레임웍이 없었다면 고민 자체를 하지 않고 TS를 선택했을 겁니다. 그 프레임웍이 Flutter죠.

Flutter는 다트로 한 번 프로그래밍해서 Android와 iOS용 앱을 모두 빌드할 수 있는 프레임웍입니다. 웹앱과 두 가지 모바일 앱을 언어 하나로 모두 개발할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으로 다가왔지만, 결국 당장 필요한 웹앱개발의 여건에 TS가 너무나 압도적이라는 판단을 내렸습니다.

Flutter는 리눅스 환경에서는 데스크탑 앱으로도 빌드할 수 있으며 Fuchsia도 Flutter로 UX 작업을 한다고 하니, 구글이 바라보는 Dart는 모든 환경의 클라이언트를 작성하는 언어일 수도 있겠다 싶습니다. 그 목적이 이미 달성되었다면 Dart도 꽤나 매력적인 언어였을 수 있겠다 싶습니다.

문제는 아직 그 때가 아니라는 점이죠 :-/

2011년 7월 25일 월요일

jqGrid, loadonce 옵션 때문에 망한 경험담

loadonce 옵션을 false로 줄 때

auto-increment int인 PK를 가지는 테이블일 때, loadonce:false 상태에서 새로운 row를 등록하면 PK를 제대로 잡지 못한 상태가 된다.


새로운 row 등록 -> 서버쪽에서 PK 생성 -> loadonce:true라서 서버사이드에서 피드백 오지 않음 -> 클라이언트에서는 새로운 데이터에 지맘대로 PK 설정.


이 상태에서 새로 등록된 데이터를 수정하면 지맘대로 설정한 PK값을 가지고 있는 기존 row를 오염시킨다.





loadonce:true로 줄 때

jqGrid에 채우는 데이터가 DB에서 JOIN을 많이 사용한 쿼리문을 통해서 만들어졌을 경우 검색이 제대로 돌아가게 만들기가 만만치 않다.




이 둘 사이에 끼어서 고생 좀 한 적이 있음.